분류 전체보기231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이 포스트는 인프런 사이트에 김영한 - 스프링 핵심원리 강의를 보고 정리한 포스터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 김영한 - 인프런김영한 | ,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 수강 전 확인해주세요! 본 강의는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의 두 번째 강의입니다. 우아한형제들 최연www.inflearn.com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eanFactory와 Applica.. 2025. 2. 13. 스프링 빈 조회 이 포스트는 인프런 사이트에 김영한 - 스프링 핵심원리 강의를 보고 정리한 포스터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 김영한 - 인프런김영한 | ,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 수강 전 확인해주세요! 본 강의는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의 두 번째 강의입니다. 우아한형제들 최연www.inflearn.com 스프링 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스프링에서 빈을 조회하는 것은 개발 중에 컨테이너에 어떤 빈이 등록되어 있는.. 2025. 2. 13.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과정 이 포스트는 인프런 사이트에 김영한 - 스프링 핵심원리 강의를 보고 정리한 포스터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 김영한 - 인프런김영한 | , 스프링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보세요! 📢 수강 전 확인해주세요! 본 강의는 자바 스프링 완전 정복 시리즈의 두 번째 강의입니다. 우아한형제들 최연www.inflearn.com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 ?스프링 컨테이너는 .. 2025. 2. 13. Spring Bean 🏗️📌 Spring Bean이란?Spring에서 Bean(빈)이란 Spring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리하는 객체를 의미합니다.즉, 일반적인 Java 객체이지만 Spring이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며, 의존성 주입(DI)이 적용된 객체입니다.💡 왜 Spring Bean을 사용할까?객체를 Spring이 직접 관리하므로 개발자는 객체 생성과 의존성 주입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싱글톤 패턴이 기본 적용되어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방지하고 성능을 최적화합니다.객체 간의 관계(의존성)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1️⃣ Spring Bean 등록 방법Spring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Component + @ComponentScan (자동 등록)Spring Bo.. 2025. 2. 7. Spring에서 AppConfig란? AppConfig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정(Configuration) 클래스로, Spring이 관리하는 Bean 객체를 등록하고 의존성을 주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Spring의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를 설정하는 핵심 클래스로 사용됩니다.1️⃣ AppConfig가 필요한 이유❌ 기존 방식 (XML 기반 설정)과거에는 Spring 설정을 XML 파일(applicationContext.xml)로 작성했지만, 유지보수가 어렵고 가독성이 떨어졌음✅ Java 기반 설정 (@Configuration + @Bean)Spring Boot 이후로는 Java 클래스로 설정을 관리하는 방법이 등장함가독성이 뛰어나고 유지보수가 쉬움XML 설정이 필요 없음객체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정 가능.. 2025. 2. 7. 동시성 문제를 고려한 HashMap<>() 선택하기 Spring에서 HashMap을 저장소로 사용할 때 동시성 문제를 고려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HashMap은 Java의 key-value(키-값)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로, java.util 패키지에 포함된 해시 테이블 기반의 맵이고, 동기화되지 않은 자료구조입니다.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DB 확정이 되지 않아서 Memory용 test용으로만 사용 private static Map store = new HashMap(); // 동시성 문제를 고려한다면 ConcurrentHashMap() 을 사용해야 한다. 1. HashMap과 동시성 문제HashMap은 동기화되지 않은 자료구조이므로, 멀티스.. 2025. 2. 7. 이전 1 2 3 4 5 6 ··· 39 다음